메뉴의 (시작하기)를 누르시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자료에 영상 강의와 한글 문서와 PPT 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제사를 준비하다가 만난 연시에게서 탐스러운 아름다움을 발견했다.
연시는 여름을 거쳐 가을, 겨울로 이어지며 익었다.
제상위에서 꼭찌달린 채로 올라온 연시는 겨울에도 탐스런 생명력을 가지고 있기에
‘심지 머금은 종발로 빛나다’라고 표현 했다.
시간에 흐름에 따라 담담하게 묘사하면서
절제된 시적 표현과 간결한 시행 구성,
시각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시적 대상을 묘사하여 회화성이 드러난다.
이 시에서 연시는 인간의 삶을 풍성하게 해 주는 존재이자
원숙한 인간의 모습을 연상케 하는 자연물이 된다.
박용래 시인의 ‘연시’를 공부할 수 있는
파워포인트 문서(PPT 문서)를 첨부했습니다.
제 강의는 교과서를 미리 보거나, 블로그에서 해설 자료를 만난 후 들으면 더 도움이 됩니다
까치밥 https://youtu.be/gpGiuk06i4U
홍시 https://youtu.be/vQjJfzPGkT0
작품 읽기
여름 한낮
비름잎에
꽂힌 땡볕이
이웃 마을
돌담 위
연시(軟?)로 익다
한쪽 볼
서리에 묻고
깊은 잠자다
눈 오는 어느 날
깨어나
제상(祭床)아래
심지 머금은
종발로 빛나다.
감상하기
여름 한낮
비름잎에
풀이름, 생명력이 강함
꽂힌 땡볕이
강열한 여름(생명력)
이웃 마을
돌담 위
연시(軟柹)로 익다
홍시
시각적
연결형이기도 하고
종결형이기다 하다.(시적 허용)
땡볕이 연시로 익다. 역설적
여름 땡볕을 받으며 돌담 위에서 익어가는 연시
<한쪽 볼
서리에 묻고
가을
깊은 잠자다
눈 오는 어느 날
겨울
깨어나>
의인법
제상(祭床)아래
제사상
심지 머금은
양초 등에 불을 붙이는 것, 감꼭지
종발로 빛나다.
작은 그릇
시각적
연시가 아름다운 이유:어려운 과정을 이겨내었기에
서리와 눈을 맞은 후 제상 아래에서 종발로 빛나는 연시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예찬적, 회화적, 향토적
특징
시행의 길이를 짧게 처리하고 단 두 개의 문장만을 사용한 간결한 형식
시각적 이미지를 사용하여 회화성 획득
계절의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
어려움을 견뎌낸 연시의 아름다움을 관조적으로 표현
주제
겨울 제상에서 빛나는 연시의 아름다움
자연의 순리 속에서 생명감으로 충만한 연시의 아름다움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김춘수의 ‘꽃을 변주하여’-장정일, 현대시 (0) | 2016.01.14 |
---|---|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_이용악, 현대시 해설 (0) | 2016.01.12 |
선제리 아낙네들_고은, 현대시 (0) | 2016.01.05 |
꽃의 패러디_오규원, 현대시 (0) | 2016.01.03 |
봄_이성부, 문학작품 해설 (0) | 2015.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