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자료에 영상 강의와 한글 문서와 PPT 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어디서나 메뉴의 (시작하기)를 누르시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핵심을 요약해서 공부하는 것이 편리한 듯하지만
교과서를 통해서 파악하는 것이 모든 공부의 기본이 된다.
첨부 파일은
내일부서 수업할 독서와 문법(창비) 교과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문법 정리로 유의어, 반의어, 상의어, 하의어, 다의어, 동음이의어 등 단어의 의미 관계를 정리한 파워포인트 PPT 파일이다.
영상 강의
저의 강의는 교과서를 미리 보거나, 블로그에서 해설 자료를 만난 후 들으면 더 도움이 됩니다
[시작하기] http://9594.tistory.com/38
국어 문법 정리 http://9594.tistory.com/3
의미 관계 요약
유의 관계 |
말소리는 다르지만 의미가 비슷 | ||
|
유의어 |
유의 관계를 보이는 단어들 참다-견디다, 기쁨-환희, 기르다-키우다 |
반의 관계 |
단어가 의미의 짝을 이루어 대립 | ||
|
반의어 |
반의 관계를 이루는 단어들 길다-짧다. 쉽다-어렵다 남성-여성,참-거짓 |
상하 관계 |
단어가 다른 단어를 포함하거나 포함됨 | ||
|
상의어 |
포함하는 단어 동물 | |
|
하의어 |
포힘되는 단어 개 |
복합 관계 |
| ||
|
다의어 |
두 가지 이상의 뜻을 가진 단어 핵심적 의미, 주변적 의미 | |
|
동음이의어 |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단어 |
단어는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단어와 일정한 관계 속에서 그 의미를 나타내며 존재한다.
의미 관계 파악의 필요성
또한 단어의 의미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일이 적지 않다.
의미 변화 파악의 필요성
따라서 이러한 단어의 의미 관계나 의미 변화 양상을 제대로 파악해야 한 편의 글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다.
단어의 의미 관계와 의미 변화
최근에 ‘[세수]’는 ①‘얼굴을 씻음’의 의미로 사용하는 일이 흔하다.
사전적 의미
사전에서도 ‘세수’를 찾아보면 ‘손이나 얼굴을 씻음’으로 그 의미를 풀이한다. 그러나 ‘세수’의 ‘수’는 한자 ‘手’로 ‘손’을 의미하므로 ‘세수’는 원래 ‘손을 씻음’을 의미하던 것이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얼굴을 씻음’의 의미로도 ‘세수’라는 단어를 사용하게 되면서 지금은 ‘손을 씻음’ 외에 ‘얼굴을 씻음’이라는 의미도 갖게 된 것이다.
의미의 확장
즉 지금은 ‘세수’가 ‘세안’이나 ‘세면’과 일정한 의미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는 ‘세수’의 의미 변화 때문이다.
유의 관계
단어의 의미 관계와 의미 변화의 예
단어의 의미 관계
의미의 계열 관계
유의 관계
말소리는 다르지만 의미가 서로 비슷한 경우를 [유의 관계]라 하고 유의 관계를 보이는 단어들을 (유의어(類義語))라고 한다.
유의 관계와 유의어의 뜻
참다-견디다 기쁨-환희(歡喜) 기르다-키우다
이 ①단어 쌍의 각 단어들은 그 의미가 서로 비슷하기는 하지만 똑같지는 않다.
유의 관계의 특징
따라서 이를 잘 분간해서 사용하면 ②다양하고 풍요로운 언어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유의 관계의 효과
유의 관계 및 유의어의 개념과 활용
반의 관계
둘 이상의 단어에서 의미가 서로 짝을 이루어 대립하는 경우를 [반의 관계]라고 하고 이 단어들을(반의어(反義語))라고 한다.
반의 관계와 반의어의 뜻
길다-짧다 쉽다-어렵다 덥다-춥다
남성-여성 참-거짓 살다-죽다
반의 관계는 ‘길다-짧다’, ‘쉽다-어렵다’, ‘덥다-춥다’처럼 ①정도(程度)의 측면에서 대립하는 경우도 있고
많다-적다
‘남성-여성’, ‘참-거짓’, ‘살다-죽다’처럼 ②상호 배타적으로 대립하는 경우도 있다.
또 반의 관계 가운데는 ③하나의 단어에 여러 개의 단어들이 대립하는 경우도 있다. 가령 ‘벗다’의 반의어는 경우에 따라서 ‘(옷) 입다’, ‘(모자, 안경) 쓰다’, ‘(신발, 양말) 신다’, ‘(장갑)끼다’ 등으로 다양하다.
①~③ 반의 관계의 양상
정도, 배타적, 여러 개
반의 관계의 개념과 양상
상하 관계
한 단어가 의미상 다른 단어를 포함하거나 다른 단어에 포함되는 의미 관계를 [상하 관계]라고 한다.이때 포함하는 단어를 (상의어(上義語))라고 하고 포함되는 단어를 (하의어(下義語))라고 한다.
상하 관계 및 상의어와 하의어의 개념
동물-개 개-삽살개
‘동물-개’의 예에서 ‘동물’은 상의어이고 ‘개’는 하의어이다. 그러나 상하 관계는 고정불변한 것이 아니다. ‘개’와 ‘삽살개’에서는 ‘개’가 ‘삽살개’를 포함하는 상의어가 되기 때문이다.
상하 관계의 특징
대체로 상하 관계에 놓이는 단어들은 상의어일수록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지니며 하의어일수록 개별적이고 한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상의어와 하의어의 특징
상하 관계의 개념과 상의어와 하의어의 특징
동물
소 개 고양이
진돗개 삽살개 풍산개
의미의 복합 관계
단어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려면 다의어(多義語)와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에 대해서도 알아야 한다. [다의어]는 두 가지 이상의 뜻을 가진 단어를 일컫고 [동음이의어]는 소리는 같으나 뜻이 다른 단어를 가리킨다.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개념
손01 「명사」
1 사람의 팔목 끝에 달린 부분. 손등, 손바닥, 손목으로 나뉘며 그 끝에 다섯 개의 손가락이 있어,무엇을 만지거나 잡거나 한다.
2 =일손.
3 어떤 일을 하는 데 드는 사람의 힘이나 노력, 기술.
4 어떤 사람의 영향력이나 권한이 미치는 범위.
손02 「명사」
1 다른 곳에서 찾아온 사람.
2 여관이나 음식점 따위의 영업하는 장소에 찾아온 사람.
3 지나가다가 잠시 들른 사람.
4 =손님마마.
손03 「명사」 『민속』
날짜에 따라 방향을 달리하여 따라다니면서 사람의 일을 방해한다는 귀신.
이와 같이 ‘손’은 소리는 같지만 의미는 다양해 사전에서는 이를 ‘(01, 02, 03)’과 같이 구분해 풀이하고 있는데 이는 ‘손’이라는 단어가 (동음이의어)로 쓰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리고 (‘손01’, ‘손02’)를 보면 그에 대한 뜻풀이가 여러 개 제시되어 있는데 하나만 제시되어 있는 ‘손03’과 비교해 보면 (‘손01’, ‘손02’)가 (다의어)임을 알 수 있다.
다의어와 동음이의어의 예
다의어는 대체로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들이 여러 가지 상황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어 생긴다. 이때 다의어의 의미는 중심적 의미와 주변적 의미로 나뉜다. (중심적 의미)는 가장 기본적이며 핵심적인 의미이고 (주변적 의미)는 중심적 의미가 확장된 의미이다.
다의어의 의미
활동> 다음은 ‘기쁨’과 다른 단어의 의미 관계를 도식으로 정리한 것이다. 잘 보고 제시된 활동을 해 보자.
[ ㉠ ]
^
[ ㉡ ] <> 기쁨 = 즐거움 = 환희 = 쾌락
[ ㉢ ] [ ㉣ ]
㉠과 ㉡에 들어갈 단어를 적어 보자
㉠ 감정 - 상의어
㉡ 슬픔 - 반의어
㉢에 환희의 반의어를 ㉣에 쾌락의 반의어를 써 보자
㉢비탄
㉣고통
활동> 다음은 휴대 전화 요금제에 관한 지면 광고를 보고 물음에 답해 보자
㉠~㉣의 뜻을 적어 보자
㉠ : 대기 중의 수증기가 높은 곳에서 찬 공기를 만나 식어서 엉기어 땅 위로 떨어지는 물방울
㉡ : 눈, 비, 서리, 이슬 따위가 오다
㉢ : ‘비용’ 또는 ‘돈’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 값이나 수치, 온도, 성적 따위가 이전보다 떨어지가너 낮아지다. 또는 그렇게 하다.
㉠~㉣의 단어를 구분해 보자
동음이의어 : ㉠ ㉢
다의어 : ㉡ ㉣
'국어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문법 정리_문장의 짜임_문장 성분, 주성분, 부속 성분, 독립 성분 (0) | 2015.10.05 |
---|---|
국어 문법] 문법 정리_단어의 의미 변화, 확대, 축소, 이동, 독서와 문법 (0) | 2015.10.05 |
국어 문법] 문법 정리_로마자 표기법, 독서와 문법 (0) | 2015.10.05 |
국어 문법] 문법 정리_외래어 표기법, 독서와 문법 (1) | 2015.10.05 |
국어 문법] 문법 정리_단어의 형성(특성), 독서와 문법 (1) | 2015.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