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자료에 영상 강의와 한글 문서와 PPT 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어디서나 메뉴의 (시작하기)를 누르시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국어 문법 요소의 이해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입니다.
이곳에서는 능동과 피동 주동과 사동. 간접 사동 직접 사동 등을 배웁니다.
) -->
저의 강의는 교과서를 미리 보거나, 블로그에서 해설 자료를 만난 후 들으면 더 도움이 됩니다
) -->
국어 문법 정리 http://9594.tistory.com/3
) -->
핵심을 요약해서 공부하는 것이 편리한 듯하지만
교과서를 통해서 파악하는 것이 모든 공부의 기본이 됩니다.
문법 공부는 무엇보다도 지식이 필요합니다.
) -->
첨부 파일은
제가 수업하고 있는 독서와 문법 교과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문법 정리로 문법 정리_문법 요소의 이해_ 피동 표현, 사동 표현을
정리한 파워포인트 PPT 파일입니다.
) -->
피동과 사동 표현 요약
피동 표현 |
) --> | ||
) --> |
능동문 |
주어가 자기 힘으로 동작하는 문장 고양이가 쥐를 쫓는다 | |
) --> |
피동문 |
주어가 남의 동작을 받은 문장 쥐가 고양이에게 쫓긴다(쫓+기+ㄴ다) 파생적 피동: 어근+피동접미사(-이-, -히-, -리-, -기-) 통사적 피동: -아/어 지다, -되다, -게 되다 행동을 입는 대상을 중심으로 표현 행동의 주체가 모호할 때 행동의 주체를 드러내고 싶지 않을 때 목적어>주어, 주어>부사어, 능동사>피동사 |
) -->
사동 표현 |
) --> | ||
) --> |
주동문 |
주어가 직접 행동하는 문장 아이가 옷을 입는다 | |
) --> |
사동문 |
주어가 다른 사람이나 대상으로 하여금 어떤 행동을 하게 만드는 상황을 표현한 문장 엄마가 옷을 입힌다(입+히+ㄴ다) 파생적 사동: 어근+사동접미사(-이-, -히-, -리-, -기-, -우-, -구-, -추-) 통사적 사동: -게 하다 ①새로운 주어 ②주동문의 주어가 목적어나 부사어로 ③주동사>사동사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 파생적 사동은 둘다, 통사적 사동은 간접 사동 |
사동과 피동의 구분 : 목적어가 있으면 사동
) -->
피동 표현
이 그림의 내용을 표현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①행동의 주체인 ‘고양이’를 주어로 하는 방법과 ②고양이가 하는 행동의 대상인 ‘쥐’를 주어로 하는 방법이다. 전자를 [능동문(能動文)]이라고 하고, 후자를 [피동문(被動文)]이라고 한다. 피동문은 행동을 입는 대상 중심으로 상황을 표현해야 할 때 쓰인다. 그리고 피동문은 행동의 주체를 부각하지 않는 효과를 수반하므로, 행동의 주체가 모호하거나 주체를 드러내고 싶지 않을 때 쓰기도 한다.
능동문 피동문의 개념과 피동문의 활용
) -->
[능동문을 피동문으로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
㉡고양이가 ㉠쥐를 ㉢쫓는다.
주어 목적어 서술어(능동사)
㉠쥐가 ㉡고양이에게 ㉢쫓긴다.
쥬오 뷰서오 서술어(피동사)
목적어 > 주어
주어 > 부사어
능동사> 피동사
) -->
) -->
㉠ 목적어 ‘쥐를’이 주어인 ‘쥐가’로 바뀜.
㉡ 원래의 주어 ‘고양이가’는 ‘고양이에게’와 같이 부사어로 바뀜.
㉢ 능동사 ‘쫓는다’가 피동사 ‘쫓긴다’로 바뀜.
능동문을 피동문으로 만드는 방법
) -->
[피동사]는 능동사의 어근에 ①파생 접사 ‘-이-’, ‘-히-’, ‘-리-’, ‘-기-’가 붙어 만들어지거나
놓다>놓이다, 닫다> 닫히다, 풀다>풀리다, 쫓다>쫓기다
②‘-되다’, ‘-어지다’가 붙어 만들어진다.
도구를 사용한다. → 도구가 사용된다.
능동사 피동사
꿈을 이루다. → 꿈이 이루어지다.
능동사 피동사
피동 표현을 만드는 문법 요소
) -->
사동 표현
이 그림에서 ‘아이’는 행동을 직접 한 사람이고, ‘엄마’는 아이로 하여금 어떤 행동을 하게 한 사람이다. ‘엄마가 옷을 입히다.’처럼 주어가 다른 사람이나 대상으로 하여금 어떤 행동을 하게 만드는 상황을 표현한 문장을 [사동문(使動文)]이라고 한다. 그리고 주어가 직접 행동하는 ‘아이가 옷을 입다.’와 같은 문장은 [주동문(主動文)]이라고 한다.
사동문과 주동문의 개념
) -->
[사동문]을 만들 때에는 ①새로운 주어가 도입되고 ②주동문의 주어가 목적어나 부사어로 바뀌는 것이 특징이다.
) -->
(자동사) 아이가 잤다. → 엄마가 아이를 재웠다.
새로운 주어 목적어 사동사
(타동사) 아이가 우유를 먹었다. → 엄마가 아이에게 우유를 먹였다.
새로운 주어 부사어 사동사
주동문을 사동문으로 만드는 방법
) -->
[사동사]를 만드는 ①사동 접미사로는 ‘-이-,’ ‘-히-’, ‘-리-’, ‘-기-’, ‘-우-’, ‘-구-’, ‘-추-’가 있다.
녹다>녹이다, 넓다>넓히다, 울다>울리다, 맡다>맡기다, 비다>비우다, 돋다>돋구다, 늦다>늦추다
파생적 사동
이 밖에② ‘-시키다’나 ‘-게 하다’가 붙어 사동 표현을 만들기도 한다.
) -->
글귀를 이해하다. → 글귀를 이해시키다.
아이가 노래를 들었다. → 아이에게 노래를 듣게 했다.
주동사 사동사
통사적 사동
사동 표현을 만드는 문법 요소
사동문은 ①행동이 주어가 직접 한 것으로 해석되느냐
직접 사동
②다른 사람이나 대상이 한 것으로 해석되느냐에 따라
간접 사동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으로 나뉜다. “엄마가 아이에게 우유를 먹였다.”와 같은, ③접미사에 의한 사동은 대개 두 가지 의미로 모두 해석된다. 즉 엄마가 직접 우유를 먹였을 수도 있고 우유를 먹으라는 지시만 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엄마가 아이에게 우유를 먹게 했다.”와 같은, ④‘-게 하다’가 붙은 사동은 간접 사동의 의미로만 해석된다.
사동문의 의미 해석
) -->
활동>다음 문장에 쓰인 ‘보이다’를 사동사와 피동사로 구분해 보자.
) -->
이야기의 결말이 보이다.
목적어 없고 보여진다의 뜻
피동사
그는 나에게 사진첩을 보였다.
목적어 있고 보게 한다의 뜻
사동사
멀리 건물 사이로 하늘이 보인다.
목적어 없고 보여 진다의 뜻
피동사
나 때문에 식구들에게 욕을 보이고 싶지 않다.
목적어 있고 듣게 하다의 뜻
사동사
날이 곧 갤 것처럼 보였는데 아직도 비가 오고 있다.
목적어 없고 보여 진다의 뜻
피동사
회의 분위기가 이상해지자 회장은 그만하자는 눈치를 보였다.
목적어 있고 보게 하다의 뜻
사동사
피동사는 목적어가 없고 사동사는 목적어가 있다.
'국어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문법] 문법 요소의 이해_시간 표현, 사건시 발화시, 과거 현재 미래, 완료상, 진행상 (2) | 2015.10.30 |
---|---|
문법 정리_높임 표현, 상대 높임, 주체 높임, 객체 높임 (2) | 2015.10.23 |
국어 문법] 문법 정리_문장의 종결 표현_문장의 종류 (0) | 2015.10.10 |
국어 문법] 문법 정리_문장의 종류_문장의 확대(문장의 종류), 이어진 문장 (0) | 2015.10.05 |
국어 문법] 문장의 짜임_문장의 종류, 안은 문장과 안긴 문장 (0) | 2015.10.05 |